삼차신경통은 통증과 온도, 압력 등의 감각을 느끼고 운동성도 가진 삼차신경에 여러 이유로 이상이 생겼을 때 발생하는 질환입니다. 감각이상과 함께 저작근 약화 등 다양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어 포괄적으로 ‘삼차신경병증’이라고 하며, 통증이 주된 증상일 때를 삼차신경통이라 부릅니다. 삼차신경은 얼굴 쪽으로 뻗어나와 제1가지(V1, 눈신경), 제2가지(V2, 위턱신경), 제3가지(V3, 아래턱신경)까지 총 세 갈래로 나뉩니다. 얼굴 감각을 전달하는 감각신경섬유도 있지만 제3가지는 씹는 근육을 지배하는 운동신경섬유도 포함합니다. 삼차신경통 원인은 얼굴의 감각과 운동을 담당하는 12쌍의 뇌신경 중 제5번 뇌신경에 다양한 문제 때문입니다. 삼차신경이 손상됐거나 다양한 원인으로 압박이 가해지고, 혈액공급이 원활하지 못할 때 나타납니다. 다소 생소하지만 연간 10만 명 당 3~4명 정도가 발병할 정도로 비교적 흔한 편입니다. | ![]() |
![]() | 삼차신경통 발생 부위 특발성 삼차신경통의 대부분이 혈관에 의한 신경 압박이 원인으로 밝혀졌지만, 이외의 정확한 발병 요인은 아직 규명되지 않았습니다. 신경을 감싸고 있는 수초가 손상돼 벗겨지면 그 부위에 활동전위가 발생해 통증에 민감한 섬유로 전달되는데, 이 기전으로 신경통 발생 원리를 추측하고 있습니다.
|
한의학에서는 삼차신경통의 원인을 기혈 부족으로 보고 있습니다. 기혈이 부족한 상태에서 외부의 풍한 등 사기가 안면부 경락과 근맥에 침습하면 신경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 | 또 정신적, 심리적으로 큰 자극을 받은 경우, 간담의 울혈이 안면 경락에 침입할 때도 유발됩니다. 외부의 풍한 외에도 습, 열 등의 사기에 노출되면 통증이 올 수 있습니다. |
![]() | ![]() | ![]()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