① | 경유돌공부위 손상(안면근육 마비) | - 뺨이 단단하게 부어오릅니다. - 눈을 뜨거나 감는 게 어렵고, 이마에 주름이 잡히지 않습니다. - 물을 마시거나 양치질을 할 때 물이 입 옆으로 흘러내릴 수 있습니다. |
② | 고삭신경부위 손상(미각소실, 타액분비 이상) | - 혓바닥이 코팅된 것과 같은 느낌이 듭니다. - 침이 너무 많이 나오거나 적게 나옵니다. |
③ | 등골신경부위 손상(청각 과민) | - 귀가 예민해져 소리가 울리거나, 잘 들리지 않습니다. - 전화를 받을 때 귀가 아픕니다. |
④ | 슬신경부위 손상(누선분비 이상, 평형감각 이상) | - 눈이 까끌까끌하거나, 이유없이 눈물이 나옵니다. - 머리가 어지럽고 균형 잡기가 힘듭니다. |
⑤ | 내부병변 손상(두개내부 핵하, 핵, 핵상 손상) | - 손발이 저리고 힘이 빠지며, 마비가 옵니다. - 눈이 침침하고 잘 보이지 않으며, 환청이 들립니다. - 어눌해지고, 목이 뻣뻣해집니다. |
구안와사의 전조증상 구안와사는 발병하기에 앞서 다양한 전조증상이 나타납니다. 시간이 지나면 괜찮아질 것이라 내버려두면 병을 더 키울 수 있습니다. 때문에 전조증상이 나타나면 재빨리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. 많은 환자들이 구안와사 발병 직전에 귀 뒤의 통증을 호소합니다. 귓바퀴 뒤쪽 아래에 위치한 유양돌기(乳樣突起), 다른 말로 꼭지돌기라고 부르는 뼈 부분에 통증이 나타납니다. 눌렀을 때 찌릿한 경우도 있지만 밤에 잠도 자지 못할 정도로 심한 통증이 나타나기도 합니다. | 외관 상 구안와사의 증상 구안와사가 진행될 때의 증상은 외관상 얼굴의 한쪽이 잘 움직이지 않는 것입니다. 또, 눈을 감거나 입꼬리를 올리고, 코를 찡그리는 것과 같은 근육의 움직임이 어렵습니다. 때문에 물을 마시거나 음식을 먹을 때, 마비된 쪽에서 음식물이 샐 수 있습니다. 혓바닥이 코팅된 것 같은 느낌이나, 얼굴이 뻣뻣하게 느껴지기도 합니다. 눈과 입술 주위 근육의 경련은 수면부족이나 피로감 탓에 일시적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. 그러나 오래 지속되고 자주 발생한다면 풍담(風痰)에 의한 구안와사의 전조증상을 의심해봐야 합니다. |